[VR문학관] 이효석의 메밀꽃 필무렵-제1부 '봉평장터와 충줏집'
추억속에 아름다운 소설이야기를 VR을 통해 꾸며본 VR문학관 시간입니다. 오늘은 그 첫 방송으로 대표적인 현대문학 소설가 이효석의 메밀꽃 필무렵을 감상 하겠습니다.
작가와 소설 개요
먼저, 소설가 이효석과 소설 메밀꽃 필무렵에 대한 소개부터 해드릴게요. 이효석은 우리 들 머릿속에는 1930년부터 해방 이후까지도 우리를 대표하는 현대문학 소설가로서 ‘메밀꽃 필 무렵’이라는 단편 소설로서 유명합니다.
다들 읽어보신 기억이 나시는지요? 메밀꽃을 구경 해보신 분 계신가요?
이효석의 단편소설 ‘메밀꽃 필 무렵’은 1936년 『조광』 10월호에 발표되었고, 1941년 5월 박문문고에서 간행한 『이효석단편선』에 수록 되어 있습니다.
이 소설은 작가의 고향 부근인 봉평·대화 등 강원도 산간마을 장터를 배경으로, 장돌뱅이인 허생원과 성서방네 처녀 사이에 맺어진 하룻밤의 애틋한 인연이 중심이 되는 매우 서정적인 작품입니다.
줄거리
장돌뱅이인 허생원은 하룻밤 정을 나누고 헤어진 처녀를 잊지 못해 봉평장을 거르지 않고 찾습니다. 어느 무더운 여름날 허 생원은 봉평 장에서 장사를 마치고 주막 충줏집에서 술을 마시는데, 젊은 장돌뱅이 동이가 충줏집과 농탕치는 것을 보고는 화가 치밀어 동이를 심하게 나무라고 따귀까지 때려 내쫓아 버립니다.
그렇지만 동이는 허 생원의 나귀가 발정이 나 줄을 끊으려 하자, 이를 허 생원에게 알릴 정도로 착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날 달이 뜬 밤, 허 생원과 조 선달, 동이 세사람은 대화장터로 이동하기 위해 산길을 걷게 됩니다.
가는 길은 메밀꽃이 주위에 피어서 한 줄로 지나가야만 했기에, 조 선달과 허 생원은 앞서고 동이는 뒤로 쳐져서 따라왔습니다. 허 생원은 젊었을 적에 고향동네 물레방앗간에서 성서방네 처녀를 만나 딱 하룻밤을 보내지만 제천으로 돌아가 그 후 만나지 못했다는 기막힌 인연을 들려줍니다.
낮에 있었던 일을 사과하던 끝에 동이의 집안 사정 이야기를 하던 중, 동이도 봉평이 고향이며 제천에서 달이 채 차지 못하고 자신을 낳고 쫓겨난 어머니, 매일같이 술만 마시는 의붓아버지의 이야기를 하게 됩니다.
하천을 건너다가, 허 생원과 동이가 그만 물에 빠져 버립니다. 동이가 허 생원을 업고 물을 다 건너고, 허 생원은 동이가 왼손잡이인 것을 보고 자신과 닮았다고 생각 합니다. 허생원은 사생아를 낳고 쫓겨났었다는 동이의 어머니가 바로 자기가 찾는 여인임이 아닐까하고 내심 생각해 보았습니다.
허생원은 갑자기 예정을 바꾸어 대화장이 끝나면 동이의 어머니가 산다는 제천으로 가기로 합니다. 혈육의 정을 느끼며 동이를 바라보던 허생원은 동이가 자기처럼 왼손잡이인 것을 확인하고, 메밀 꽃이 흐드러지게 핀 여름 밤, 아들일지도 모르는 동이와 제천으로 함께 가면서 소설은 열린 결말로 끝납니다.
이 소설의 줄거리만 들어도 가슴이 뭉쿨하지 않나요? 첫사랑의 추억을 평생 기억하고, 회상하면서 사는 허생원을 바라보면서, 이제는 돌아와 내 일이 되어 버린 사랑의 이야기란 생각이 드시지는 않는지요?
자 이제 이효석의 문학의 숲의 산책길을 돌며, 바위에 새겨진 소설의 이야기를 하나 하나씩 들어보겠습니다.
소설 제1부: 봉평장터와 충줏집
허 생원은 친구 조 선달과 함께 평창 군내 봉평, 대화, 조금 멀리는 제천 등 장터를 돌며 장돌뱅이로 살아왔습니다. 허 생원은 못생겼고, 왼손잡이라 여자와는 거리가 멀었고, 장터를 함께 다니는 나귀를 평생 벗삼아 살아 왔습니다.
어느 무더운 여름날 아직 중천에 해가 떠 있었지만 장터는 벌써 파장 분위기 인데다, 등줄기로 땀이 범벅이 되는 날이었습니다. 장터를 찾은 마을 사람들 역시 거의 돌아간 뒤였고, 팔리지 못한 나무꾼 패가 길거리에서 궁실대고 있었으나, 이들 때문에 언제까지든지 버티고 있을 상황이 아니었습니다. 허 생원은 오늘 장터판을 접자고 동업자인 조 선달을 나꾸어 보았습니다.
허생원과 조선달은 봉평장을 떠나면서 내일 대화장에서서 한몫 벌어야겠다고 투덜거렸습니다. 내일 대화장에서 장터를 열려면 달빛 아래서 밤새 걸어야 했습니다. 다른 장돌뱅이 치들도, 벌써 거진 장터를 거두고 있었습니다. 약사빠르게 떠나는 패들도 있었습니다. 어물 장수도, 땜장이도, 엿 장수도, 생강 장수도 보이지 않았습니다.
내일은 진부와 대화에 장이 섭니다. 어느 장돌뱅이나 진부와 대화 어느 쪽으로든지 밤을 새워 육칠십 리 밤길을 타박거리며 걷지 않으면 안되었습니다. 장판은 잔치 뒤 마당같이 어수선하게 벌어지고, 술집에서는 싸움이 터지고 있었습니다. 주정꾼 욕지거리에 섞여 계집의 앙칼진 목소리가 찢어졌습니다. 장날 저녁은 정해 놓고 계집의 고함소리로 시작되는 것이었습니다.
조선달은 계집 고함 소리로 문득 생각난 듯이 ‘충주집’ 이야기를 꺼내면서 비죽이 웃었습니다. 그리고, 함께 장을 돌아다니는 청년 동이가 감쪽같이 충줏집을 후린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허생원은 “무어 그 애송이가? 물건 가지고 낚었나 부지. 착실한 녀석인 줄 알았더니.” 라고 말했습니다. 조선달은 “그 길만은 알 수 있나…… 궁리 말구 가 보세나그려. 내 한턱 씀세.” 라고 발길을 재촉했습니다.
허생원은 그다지 마음이 당기지 않는 것을 쫓아갔습니다. 허 생원은 계집과는 연분이 멀었습니다. 못생긴 얼굴로 상판을 쳐들고 계집앞에 설 숫기도 없었거니와, 계집 편에서 정을 보낸 적도 없었고, 쓸쓸하고 뒤틀린 반평생이었습니다. 충줏집을 생각만 하여도 철없이 얼굴이 붉어지고 발밑이 떨리고 그 자리에 소스라쳐 버립니다.
허생원이 충줏집 문을 들어서 술좌석에서 동이를 만났을 때에는 어찌된 서슬엔지 발끈 화가 나 버렸습니다. 상 위에 붉은 얼굴을 쳐들고 제법 계집과 농탕치는 것을 보고서야 견딜 수 없었던 것입니다. 녀석이 제법 난봉꾼 기질이 있는 것이 꼴사나웠습니다.
허생원은 ‘머리에 피도 안 마른 녀석이 낮부터 술 처먹고 계집과 농탕이야. 장돌뱅이 망신만 시키고 돌아다니누나’ 라고 동이를 책망했습니다. 허생원은 걱정두 팔자요 하는 듯이 빤히 쳐다보는 동이의 상기된 눈망울에 부딪힐 때, 따귀를 한대 갈겨 두지 않고는 배길 수가 없었습니다.
동이도 화를 쓰고 팩하게 일어서기는 하였으나, 허 생원은 조금도 동색하는 법 없이 마음먹은 대로는 다 지껄였습니다. ‘어디서 줏어먹은 선머슴인지는 모르겠으나, 너에게도 아비 어미 있겠지. 그 사나운 꼴 보면 맘 좋겠다. 장사란 탐탁하게 해야 되지, 계집이 다 무어야. 나가거라, 냉큼 꼴 치워.’ 동이는 한 마디도 대꾸하지 않고 충줏집을 나갔습니다.
허생원은 ‘아직도 서름서름한 사인데 너무 과하지 않았을까?’ 하고 마음이 섬찟해졌습니다. 허생원은 속으로 ‘주제도 넘지, 같은 술손님이면서도 아무리 젊다고 자식 나쎄 되는 것을 붙들고 치고 닦아 셀 것은 무어야?’라고 생각했고, 충줏집은 입술을 쭝긋하고 술 붓는 솜씨도 거칠었습니다.
한참 법석을 친 후라서, 웬일인지 흠뻑 취해 보고 싶은 생각도 있어서 허 생원은 주는 술잔이면 거의 다 들이켰습니다. 계집 생각보다도 동이의 뒷일이 한결같이 궁금해졌습니다. 얼마나 지난 뒤인지 동이가 헐레벌떡거리며 황급히 부르러 왔을 때, 허생원은 마시던 잔을 그 자리에 던지고 정신없이 허덕이며 충줏집을 뛰어나갔습니다.
글, 영상: 강세호 실버피아온라인 발행인, 입력시간: 2021.10.1 오전 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