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I 만능시대, AI가 만들어내는 환각에 주의하라
인공지능 환각현상.png
[사진] 인공지능 만능시대, 인공지능이 만들어 내는 환각에 주의해야 한다.

하철을 타고 가고 있는데 경로석 옆에 않아있는 두분의 어르신들이 인공지능에 열을 내서 이야기 하고 있었다. 대화의 요점은 ‘인공지능은 만능이다’라는 것이다. 못하는 것이 없고 신기하다고 말하며, 인공지능을 집에가서 꼭 해보라고 권유하고 있었다.

 

AI가 일상과 산업의 모든 영역으로 스며드는 'AI 만능 시대'를 살아가면서, 우리는 그 편리함과 가능성에 환호하는 동시에 새로운 위험과 책임에 직면하고 있다. AI를 무조건적으로 신뢰하고 사용하기에 앞서, AI가 만들어 내는 환각에 주의해야 한다. 지나친 추론의로부터 발생하는 환각의 문제점을 인지하고 비판적으로 점검하는 자세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AI 시대를 현명하게 살아가기 위해 개인, 기업, 그리고 사회 전체가 반드시 점검해야 할 필수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았다.

 

1. 개인 차원에서 점검할 사항

개인은 AI 기술의 최종 사용자이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주체이다. 따라서 주체적인 자세로 AI를 활용하고 스스로를 보호해야 할것이다.

 

✅ 비판적 사고 및 정보 분별 능력 (Critical Thinking & Media Literacy)

점검 질문: "이 정보는 AI가 생성한 것인가? 사실에 기반한 것인가, 아니면 그럴듯하게 꾸며낸 것인가?"

 

AI가 생성한 글, 이미지, 영상(딥페이크 등)은 매우 정교하여 진위 구별이 어렵습니다. 항상 정보의 출처를 확인하고, 교차 검증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AI의 답변을 맹신하지 말고, 최종 판단의 주체는 자신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 개인정보 보호 및 데이터 주권 (Data Privacy & Sovereignty)

점검 질문: "나의 데이터를 어떤 AI 서비스가 수집하고 있으며,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AI 서비스는 대규모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동한다.  내가 무심코 제공하는 개인정보, 검색 기록, 대화 내용이 어떻게 학습되고 활용되는지 서비스 약관 등을 통해 인지해야 한다. 민감한 정보는 공유를 최소화하고, 데이터 삭제 요청 등 자신의 권리를 적극적으로 행사해야 한다.

 

✅ AI에 대한 맹신과 과의존 경계 (Avoiding Over-reliance)

점검 질문: "AI 없이 이 업무나 결정을 스스로 할 수 있는가? 나의 고유한 판단력이 약해지고 있지는 않은가?“

 

AI의 편리함에 익숙해져 사고 능력이나 문제 해결 능력이 퇴화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AI를 '보조 도구'로 활용하되,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와 같은 인간 고유의 역량을 키우는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

 

✅ AI 기반 보안 위협 인식 (AI-driven Security Threats)

점검 질문: "이메일, 메시지, 전화가 AI를 이용한 사기(피싱, 보이스피싱)일 가능성은 없는가?"

AI를 악용한 맞춤형 피싱 공격이나 목소리 위조 등 새로운 유형의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링크나 비정상적인 요구에는 항상 의심을 품고 신중하게 대처해야 한다.

2. 기업 및 개발자 차원에서 점검할 사항

AI를 개발하고 서비스하는 기업은 기술의 영향력에 걸맞은 무거운 사회적 책임을 져야 한다.

 

✅ 데이터 편향성과 알고리즘 공정성 (Data Bias & Algorithmic Fairness)

점검 질문: "우리의 AI 모델이 특정 성별, 인종, 지역, 계층에 대해 불공정한 결과를 내놓고 있지는 않은가?“

 

편향된 데이터로 학습된 AI는 사회적 차별을 고착화하고 증폭시킬 수 있다. (예: 채용 AI가 남성 지원자만 선호하는 경우) 데이터 수집 단계부터 다양성과 균형을 확보하고, 알고리즘의 공정성을 지속적으로 감사하고 개선해야 한다.

 

✅ 투명성 및 설명가능성 (Transparency & Explainability, XAI)

점검 질문: "AI가 왜 그런 결정을 내렸는지 사용자나 규제 당국에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가?“

 

AI의 의사결정 과정이 '블랙박스'처럼 불투명해서는 안된다. 특히 금융, 의료, 채용 등 중요한 판단을 내리는 AI는 그 결정의 근거를 제시할 수 있어야 신뢰를 얻고 문제 발생 시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 책임 소재의 명확화 (Accountability)

점검 질문: "AI 시스템이 오류나 사고를 일으켰을 때, 그 책임은 누가, 어떻게 져야 하는가?"

자율주행차 사고, AI 의료 진단 오류 등 문제가 발생했을 때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개발사, 운영사, 사용자 간의 책임 범위를 규정하는 명확한 정책과 법적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

 

✅ 견고하고 안전한 AI 시스템 설계 (Robust & Secure AI)

점검 질문: "외부의 적대적 공격(Adversarial Attack)으로부터 우리의 AI 시스템은 안전한가?“

 

의도적으로 데이터를 조작해 AI의 오작동을 유도하는 공격에 대비해야 한다. AI 시스템 자체의 보안을 강화하고, 예기치 못한 입력값에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설계해야 한다.

3. 사회 및 정부 차원에서 점검할 사항

AI 기술이 사회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관점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 법률 및 제도적 기반 마련 (Legal & Regulatory Framework)

점검 질문: "AI 시대에 맞는 저작권, 개인정보보호법, 제조물 책임법 등 새로운 법률과 규제가 준비되어 있는가?“

 

AI 생성물의 저작권 귀속 문제, AI의 불법 행위에 대한 처벌 등 기존 법체계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들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입법이 시급하다.

 

✅ 사회적 안전망 구축 및 고용 구조 변화 대비 (Social Safety Net & Future of Work)

점검 질문: "AI로 인해 대체될 일자리의 노동자들을 어떻게 보호하고 재교육할 것인가?“

 

AI 자동화로 인한 대규모 일자리 변화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고용 보험 확대, 재교육 및 전직 지원 프로그램 강화 등 사회적 안전망을 촘촘히 설계해야 한다.

 

✅ AI 시대에 맞는 교육 시스템 혁신 (Education Reform)

점검 질문: "미래 세대가 AI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활용하며, AI와 협력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주고 있는가?“

 

단순 지식 암기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창의력, 비판적 사고, 협업 능력, 디지털 리터러시 등 인간 고유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교육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

 

AI는 인류에게 엄청난 혜택을 줄 수 있는 강력한 도구이지만, 그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결국 우리 자신이다. 이 필수 점검 사항들을 끊임없이 되새기며, 기술의 발전에만 매몰되지 않고 인간 중심의 AI 시대를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환각현상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와 노력이 필요하다.

 

기사입력: (사)한국신장년진흥회 강세호 회장, 입력시간: 2025년 8월 30일 오후 9시 20분

제호:실버피아온라인

발행회사명:유니실버(주) 

발행인:강세호

편집인:강세호

청소년보호책임자:이은경

​강세호TV 담당 : 송재혁 앵커

등록번호::경기,아51443  최초 등록일: 2016년12월7일

홈페이지 주소: www.silverpiaonline.com

종별: 인터넷신문

간별: 인터넷신문

발행소: (우)16938,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로27

             4915동 1203호 ((상현동, 광교쌍용포레듀앤

​전화번호: 031-718-5811, 이동전화: 010-2967-6755

​이메일: silverwill@naver.com

​최종기사입력시간: 2025년111월20일   

Copyright ⓒ 2017,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실버피아온라인 .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