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한국 초고령사회의 이해 1
우리가 알아야 될 초고령사회 인구구조 및 특성
[사진]초고령사회의 행복한 노부부

계청(2010)은 우리나라가 2018년에는 고령 사회(고령인구비율 14%이상)에,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고령인구비율 20%이상)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해왔다. 2024년 12월29일 행정안전부의 발표에 따르면, 이러한 전망과 유사하게, 2024년12월23일을 기해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1,024만4,450명으로, 전체 노인인구(5,122만1,286명)의 20%를 돌파해 공식적으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되었다.

1955∼1974년생인 베이비부머 세대의 지속적인 노인 인구 편입은 한국 사회의 고령화를 가속하는 주된 배경이 되었다. 베이비부머 세대는 1차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와 2차 베이비부머(1964∼1974년생) 이다. 노인인 된 베이비부머 세대를 포함해 2049년에는 전체 노인인구가 2천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제2차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연령 진입 러쉬가 시작되어 초고령사회 지각변동의 주 원인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 노인인구의 급속한 초고령화는 ①사회경제 활력 저하, ②연금고갈, ③노인빈곤 문제, ④노인자살율 세계 1위 등의 난제를 안고 있으며, 이는 노인세대가 않고 있는 ‘4고’, 즉‘가난함’과 ‘병듦’ 그리고 ‘소외됨’과 '할 일 없음'의 고통을 동반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는 것이 국가적 과제로 등장한지 오래이다.

해결 과제로 ①노인이 노인이 아닌 시대 '노인의 정의' 재정립 목소리가 나오고 있으며, ②젊은이·노년층 간에 혐오아닌 배려로 함께 가는 '공생사회' 주문, ③초고령사회 지각변동의 주 원인인 배이비붐 세대에 대한 국가차원의 정책 개발, ④지속가능한 고령사회 건설을 통해 100세 시대를 준비할 수있도록 ‘단순한 나이가 아닌’ 기능적 연령 측면의 사회인구적 환경 조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속 가능한 노동 시장과 포용적인 고용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기상입력: 실버피아온라인 강세호 발행인, 기사입력시간: 2025년 1월30일 오전 6시12분

제호:실버피아온라인

발행회사명:유니실버(주) 

발행인:강세호

편집인:강세호

청소년보호책임자:이은경

​강세호TV 담당 : 송재혁 앵커

종별:인터넷신문,등록번호:경기,아51443,등록일:2016년12월07일 

발행소:(우)16938 경기 용인시 수지구 상현로 27,4915동1203호

연락처: (전화)031-718-5811, 이메일:silverwill@naver.com

홈페이지 주소: https://www.silverpiaonline.com

사업자등록번호: 126-81-46423,

최종게재일: 2025년3월22일

공공정책시민감시단캠페인.png

Copyright ⓒ 2017,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실버피아온라인 .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